카테고리 없음
중고거래 실제 사기 사례 TOP 5 – 피해 막는 법까지 알아보자
kangpung
2025. 4. 9. 15:15
중고거래는 저렴하게 좋은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똑똑한 소비 방법이지만, 동시에 사기 피해의 위험도 늘 존재합니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사기꾼의 교묘한 수법에 속아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4~2025년 사이 실제 발생한 중고거래 사기 사례 TOP 5를 통해 어떤 상황에서 사기가 일어나는지, 그리고 이를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려드립니다.
1. 입금했는데 배송이 안 와요 – 고전적인 '먹튀'
- 사례: 당근마켓에서 인기 있는 블루투스 이어폰을 저렴하게 올려 거래. 직거래가 어렵다는 이유로 택배거래를 유도하고 입금 받자마자 연락 두절.
- 피해액: 9만 원
- 예방법: 택배거래 시 반드시 안전결제 시스템을 이용하고, 더치트에서 계좌 조회 후 거래 진행
2. 실물과 너무 다른 상품 – 상태 속이기
- 사례: ‘거의 새 제품’이라며 판매한 중고 노트북. 막상 받아보니 스크래치와 기능 이상 다수. 교환·환불 요청하자 차단.
- 피해액: 35만 원
- 예방법: 고가 제품은 직거래로 실물 확인 필수. 가능하면 제품 작동 확인까지 하고 거래 진행
3. 사진 도용 – 실제 제품 아님
- 사례: 인터넷에 떠도는 제품 이미지와 상세 설명을 복사해 올린 게시글. 입금 유도 후 연락 끊김. 피해자 수십 명 발생.
- 피해액: 건당 2~30만 원
- 예방법: 제품 사진을 구글 이미지 검색으로 확인. 실물 사진, 다양한 각도, 본인이 직접 찍은 사진 여부 체크
4. 지인 사칭 – “OO가 추천해서 연락드려요”
- 사례: SNS에서 친구 계정을 도용해 “이거 급히 파는 거야, 믿을 수 있어”라며 접근. 실은 계정 해킹으로 인한 가짜 메시지.
- 피해액: 12만 원
- 예방법: 지인 추천이라 해도 본인 확인 필수. 특히 SNS 기반 거래 시 직접 전화나 영상통화 등으로 확인
5. 택배 보냈다며 가짜 송장 전송
- 사례: 거래 후 송장번호 전송. 실제로는 무효한 번호거나 다른 상품 배송 번호를 도용. 피해자가 배송조회에 속아 시간이 지난 뒤에야 사기 인지.
- 피해액: 6만 원
- 예방법: 배송 추적 시 수신인 정보가 본인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공식 쇼핑몰 사이트를 통한 배송 확인 권장
💡 사기 피하려면? 실천 체크리스트
- ✅ 직거래 우선, 가능하면 공공장소에서
- ✅ 계좌번호, 전화번호는 더치트에서 사기 여부 조회
- ✅ 택배거래는 반드시 에스크로 안전결제 사용
- ✅ 실물 사진과 상태 반드시 확인, 이미지 도용 주의
- ✅ 대화 내용 캡처 및 저장, 사기 시 증거로 활용
🛑 사기 당했다면?
- 거래내역과 상대방 정보, 입금증 캡처
- 가까운 경찰서 사이버범죄팀 신고
- 사기 정보 공유: 더치트,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
마무리하며
중고거래는 정말 편리하고 실속 있는 거래 방식입니다. 하지만 조금만 방심하면 금전적 손실은 물론 심리적인 피해도 큽니다. 오늘 소개한 실제 사례들을 통해 항상 경각심을 가지고 거래에 임하세요.
스마트한 소비자는 정보를 무기 삼아 사기를 예방합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안전한 중고거래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